‘샤인머스켓’ 개발한건 일본, 우리나라 수출 효자 상품 된 사연

우리나라가 보유하고 있는 식물 종자 자원의 규모가 일본을 넘어서 세계 5위가 된 지 무려 4년이 넘었다고 합니다. 그만큼 종자 전쟁에서 우리나라가 승리가 하고 있습니다. 이에 일본에서는 우리나라에 식물 종자 자원을 빼앗기는 것을 막겠다며 자국 식물 보호를 위한 종묘 법 개정에 나섰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수출 효자 샤인 머스켓

우리나라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해외 수출의 효자 상품이 된 샤인 머스캣, 샤인 머스캣은 껍질째 먹는 씨없는 청보도 형태로 일반 포도보다 당도가 4~5도 높고 그만큼 일반 포도보다 비싸지만 날게 돋친 듯이 팔린다고 합니다. 말 그대로 포도계의 수출과 매출 효자 상품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샤인머스캣이 일본에서 개발된 상품이라면 믿으시겠나요? 이 샤인 머스캣은 1988년에 일본에 개발되었고 2006년에 품종 등록이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2006년에 종자를 들여올 수 있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유통은 2014년이 되어서야 가능했답니다. 현재는 우리나라의 이 샤인 머스캣이 전 세계 20여 개국에 팔리고 있으며 특히 중국에서는 한송이에 5~7만 원에 팔리는 명품으로 통한다고 합니다.

 

일본의 늦장 대응 문제

일본에서는 샤인 머스캣을 한국에 빼앗겼다고 말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현실내 문제는 바로 일본 내 종묘 법 문제라고 합니다. 일본은 샤인 머스캣의 해외 품종 출원을 하지 않다가 등록 기한인 2012년을 넘기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로열티 권리를 잃게 되었다고 합니다.  일본의 품종등록을 한 지 6년이 지나면 해외 품종 등록이 안된다고 합니다. 일본은 샤인 머스캣을 개발하고도 6년 동안 한국 내 품종 등록을 하지 않는 바람에 한국 농업인은 일본에 로열티를 한 푼 안내도 되게 되었다고 합니다.

 

샤인 머스캣 판매 증가

이 상황에 우리나라는 샤인 머스캣의 국내 판매는 물론, 베트남, 중국 등의 해외 판매를 늘리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내 농가에서는 샤인 머스캣에 대한 로열티를 한 푼도 안 내고 있다고 합니다. 오히려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보관 기술을 활용해 품질을 높이고 있다고 합니다. 지난해 포도 수출액이 3100만 달러로 역대 최대액을 찍었다고 합니다.  지난해 베트남 샤인 머스켓 수출액은 814만 달러, 중국 내 샤인 머스켓 수출액도 767만 달러로 전년 대비 35%가량 증가했다고 합니다.

 

국내에서 꿀 고구마로 통하는 고구마 베니하루카 역시 동일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식물 자원수는 26만 개로 미국 인도, 중국, 러시아에 이은 세계 5위라고 합니다. 일본이 우리나라 바로 아래 6위였다고 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